콘텐츠 바로가기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연구센터에서 수집한 소장자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탐라순력도 - 제주목: 제주전최

분야별정보 > 역사 > 제주사일반



 1702년(숙종 28) 11월 17일, 제주목사가 각 관리의 공적을 심사하는 모습을 그린 그림으로 엄숙한 분위기가 감돌고 있다.

 제주목사인 절제사가 관덕정 중앙 상좌에 사모를 쓰고 엄숙히 좌정해 있다.

 그 오른쪽에 주안상이 놓여 있고 두 시녀가 고개를 숙이고 엎드려 있다.

 절제사의 정면에는 장고, 북 등 악기를 연주하는 기녀들과 사당패가 앉아 있고, 그 좌우에 판관, 두 고을 현감, 군관과 많은 고을 무사들이 앞에 주안상을 놓은 채 나란히 앉아 있다.

 관덕정 앞 계단과 뜰 좌우편에는 사령들이 깃발을 들고 도열해 있으며, 관덕정 좌측 높은 깃대에는 사자기가 깃봉 없이 게양되어 있다.

 그림 왼쪽의 종(鐘)이 매달려 있는 작은 건물은 '탐라포정사(耽羅布政司)'다. 성문을 여닫는 시간을 알릴 때 이 종을 울렸다고 한다.

 전면에는 긴 집채[回廊]만이 그려져 있고 관덕정 중앙 정면에는 물림폭이 그려져 있다.

 당시 제주지방의 군대는 속오군과 마대로 구분되어 있었다. 그림 아래의 기록에 따르면 속오군 각 부의 책임자인 천총, 각 사의 책임자인 파총, 각 초의 책임자인 초관, 마대의 책임자인 별장, 각 진의 조방장, 성장, 교련관, 기패관 등 군 관련 인사는 물론이고, 도 훈장, 각 면의 훈장과 교사장, 강유, 사원들 까지 800명이 넘는 인원이 모두 전최의 대상이었던 모양이다. 

※ 원본에는 '제주사회'의 그림과 바뀌어져 있다. 당시 책으로 꾸밀 때 실수한 것으로 보인다. 여기서는 제 자리를 찾아 놓았다.

 자료/저작권정보 보기

탐라순력도(영인본), 제주시, 1994 문화의 원류와 그 이해, 송성대, 각, 2001 탐라순력도연구논총, 제주시·탐라순력연구회, 2000 제주도의 생산기술과 민속, 고광민, 대원사, 2004 제주도지, 제주도, 1993 제주도포구연구, 고광민, 각, 2004 제주도지, 제주도, 2006 제주역사기행, 이영권, 한겨레신문사, 2004 제주문화자료총서4-제주의 민속, 제주도, 1996 그 섬에 유배된 사람들, 양진건, 문학과 지성사, 1999 돌과 바람의 섬 신들의 나라 제주, 제주도, 2000 와치와 바치, 김순자, 각, 2006 한라산 총서-한라산의 동물, 제주도·한라산생태문화연구소, 2006 포구, 좌승훈, 나라출판, 1996 제주도 전설, 현용준, 서문당, 1996 오름나그네, 김종철, 높은오름, 1995

유형
고문헌
학문분야
역사 > 제주사일반
생산연도
1703
저자명
제주시 제주목 관아
소장처
제주목 관아
조회
102
첨부파일
탐라순력도_제주목_제주전최.jpg

제주학 아카이브에서 창작 및 제공하는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