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연구센터에서 수집한 소장자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탐라순력도 - 제주목: 비양방록

분야별정보 > 역사 > 제주사일반



사슴을 생포해 비양도로 옮겨 방사하는 그림이다. 아래 기록은 1702년 10월 11일 사슴을 생포하고, 1703년 4월 28일에 비양도에 방사했다고 적고 있다.

 이 한 장의 그림에 제주목 서면의 53개 마을 위치가 상세하게 표시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제주읍성의 서문에서 명월진에 이르는 지형을 담고 있다.

 해안의 지형, 봉수·연대의 위치, 애월진·명월진·토성의 위치도 잘 드러나 있다. 그 외 병문천, 대천, 무수천, 정자천의 흐름이 보인다.

 비양도는 고려시대 바다에서 분출된 화산섬이기 때문에 당시에는 식생이 매우 단순하고 빈약했던 것으로 추정되기도 한다.

 본 섬에서 포획한 사슴을 비양도에 방사하는 그림이지만, 비양도에는 나무는 없고 풀밭만 있으며, 오름의 높은 지대에는 붉은 색으로 표시하여 식물이 없고 송이가 노출된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또한 오름의 저지대에는 대나무가 많이 그려져 있다. 이 대나무는 현재 남아있는 대나무가 이대이기 때문에 모두 이대인 것으로 추정되며, 화살제작 등의 군사적인 이용을 목적으로 하거나, 생활도구의 제작 등의 필요에 의해서 심은 것으로 보아진다.

자료/저작권정보 보기

탐라순력도(영인본), 제주시, 1994 문화의 원류와 그 이해, 송성대, 각, 2001 탐라순력도연구논총, 제주시·탐라순력연구회, 2000 제주도의 생산기술과 민속, 고광민, 대원사, 2004 제주도지, 제주도, 1993 제주도포구연구, 고광민, 각, 2004 제주도지, 제주도, 2006 제주역사기행, 이영권, 한겨레신문사, 2004 제주문화자료총서4-제주의 민속, 제주도, 1996 그 섬에 유배된 사람들, 양진건, 문학과 지성사, 1999 돌과 바람의 섬 신들의 나라 제주, 제주도, 2000 와치와 바치, 김순자, 각, 2006 한라산 총서-한라산의 동물, 제주도·한라산생태문화연구소, 2006 포구, 좌승훈, 나라출판, 1996 제주도 전설, 현용준, 서문당, 1996 오름나그네, 김종철, 높은오름, 1995

유형
고문헌
학문분야
역사 > 제주사일반
생산연도
1703
저자명
제주시 제주목 관아
소장처
제주목 관아
조회
78
첨부파일
탐라순력도_제주목_비양방록.jpg

제주학 아카이브에서 창작 및 제공하는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