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연구센터에서 수집한 소장자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탐라순력도 - 대정현: 대정강사

분야별정보 > 역사 > 제주사일반



 1702년(숙종 28) 11월 12일, 대정현에 머물면서 시행한 강사의 장면을 그린 것이다.

 이 강사에는 도훈장 전 현감 문영후와 각 면 훈장 5명, 각 면 교사장 5명, 강유 42명, 사원 21명이 참가했다.

 대정현성은 성곽이 둘러쳐진 타원형의 성이다. 성벽 위에는 여장(성 위에 있는 낮은 담으로 총구와 타구가 있는 구조물)이 설치되어 있고, 회곽도를 오르기 위한 돌계단이 성문 옆에 축조되어 있다.

 북성 가까이 정청(正廳)에 임금을 상징하는 전패를 모셔놓고 초하루 보름마다 향궐만배(向闕萬拜)하는 곳인 객사가 자리 잡고 있다.

 남문에 들어서면 넓은 마당 한 가운데 두 기둥을 세우고 지붕이 없이 홍살을 세워 댄 홍살문에 이른다. 홍살문에 들어서면 객사로 출입하는 문이 가운데 있고 좌우로 익랑을 둔 솟을대문에 이른다.

 이 문을 들어서면 마당을 중심으로 객사가 자리 잡고, 객사 앞쪽 좌우측에 객사공간을 구성하기 위한 행랑채가 자리 잡고 있다.

 현관의 집무소인 관아는 객사 서쪽에 성벽과 함께 하여 ‘ㄷ’자를 형성하고 있고 객사와 관아 사이에는 군관의 처소인 관청건물이 자리 잡고 있다.

 객사 동측에는 군기를 보관하는 군기고가 있으며, 군기고 남쪽에는 좌수와 별감이 근무하던 향청, 육방의 우두머리가 집무하던 작청 등의 건물이 자리 잡고 있다.

 관아 남쪽에는 곡식을 보관하는 창고가 있다.

 성 안에는 각종 깃발이 도열되어 있다. 이형상 목사는 객관에 앉아 있다. 그 옆에는 주안상이 있고, 또 사원들이 그 앞에서 배례를 올리고 있다. 유강들은 붉은 옷차림으로 사원들과 함께 늘어서 있다.

 객관 좌측에는 기수들이 잡고 있는 각종 깃발이 도열해 있다. 과녁과 물림폭이 시설되어 있고 그 옆에는 판정관과 깃발로 활의 적중여부를 알리는 사령 3명이 신호기를 눕힌 채

엎드려 있다.

 성 밖의 남쪽으로는 좌측으로부터 산방산, 바굼지오름[破軍山岳], 송악산이 있고, 섬은 우측으로부터 가파도[盖波島], 마라도, 형제도, 봉수로는 저성망(貯星望), 마을로는 모슬포의 초가가 보이고, 또 성 밖에도 초가가 있다. 특히 바굼지오름 남쪽으로는 문묘(文廟), 즉 대정항교가 보인다.

자료/저작권정보 보기

탐라순력도(영인본), 제주시, 1994 문화의 원류와 그 이해, 송성대, 각, 2001 탐라순력도연구논총, 제주시·탐라순력연구회, 2000 제주도의 생산기술과 민속, 고광민, 대원사, 2004 제주도지, 제주도, 1993 제주도포구연구, 고광민, 각, 2004 제주도지, 제주도, 2006 제주역사기행, 이영권, 한겨레신문사, 2004 제주문화자료총서4-제주의 민속, 제주도, 1996 그 섬에 유배된 사람들, 양진건, 문학과 지성사, 1999 돌과 바람의 섬 신들의 나라 제주, 제주도, 2000 와치와 바치, 김순자, 각, 2006 한라산 총서-한라산의 동물, 제주도·한라산생태문화연구소, 2006 포구, 좌승훈, 나라출판, 1996 제주도 전설, 현용준, 서문당, 1996 오름나그네, 김종철, 높은오름, 1995

유형
고문헌
학문분야
역사 > 제주사일반
생산연도
1703
저자명
제주시 제주목 관아
소장처
제주목 관아
조회
124
첨부파일
탐라순력도_대정현_대정강사.jpg

제주학 아카이브에서 창작 및 제공하는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