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연구센터에서 수집한 소장자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朝鮮後期 濟州鄕校 運營 實態

분야별정보 > 역사 > 사회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본 논문은 조선후기 제주향교의 운영과 실상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조선은 유교이념 보급과 사회체제 유지를 위하여 전국 군현에 향교를 설립하고 교화정책을 펴나갔다. 향교는 문묘를 중심으로 제례를 수행하고, 명륜당을 설치하여 학생들의 교육을 담당함으로써 향촌 사회의 중추적 역할을 했다. 그리고 지방 양반들이 출입하여 활동하던 곳으로 정치.사회적 기구로써 기능한 측면도 있었다. 이러한 향교를 이해하는 것이 향촌 사회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 기대하면서 이 논문에서는 제주향교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그 설치시기에서부터 향교 직제와 교생, 경제기반, 양반유생들의 향촌활동 등에 관한 내용을 다루었다. 그리고 조선 전기에 대한 자료가 부족하여 그 시기를 후기로 한정시켰으며 정의.대정향교는 제외시켰다. 제주향교의 소장자료를 토대로 해서 제주향교의 운영과 실상을 살펴보고 제주향촌사회의 일면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제주향교의 설치시기는 태조 원년과 태조 3년이라는 견해가 있는데, .제주향교건학비기(濟州鄕校建學碑記)., 동국여지승람(東國與地勝覽) ,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 등에서 태조 원년이라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렇게 설치된 후에도 화재나 지리적 이유 등으로 여러차례 이건하였음을 이건기문이나 상량문(上樑文)등을 통해서 알아보았다. 그리고 조선초 교수관의 파견 등으로 교육활동을 시작하여 조선후기 제주향교에는 .각면훈장설치절목(各面訓長設置節目).을 발급하고 삼읍과 각면에 훈장을 두어 권학에 힘쓰기도 하였다. 그리고 다른 지역에서처럼, 고강문제와 관련하여 군역을 회피하는 청금유생이 생겨나고 청금록을 따로 작성하기도 하였다. 그래서 향교소장 청금록을 조사하여 그 청금유생수를 파악하였다. 또한 향교에 소장된 여러 절목류를 통하여 제주향교의 실제 운영을 살피고, 접생을 뽑고 고강을 실시했던 구체적 내용도 알 수 있었다. 이처럼 향교가 운영되기 위해서는 경제적 기반이 필요하였는데 향교전과 노비 등이 그것이다. 제주향교가 소유하고 있던 향교전은 조선후기 잘 운영되지 않아 폐단이 심각해졌고 노비들도 유리될 형세에 이르렀다. 이 외에 목사의 섬학전(贍學田)이나 유전(儒錢)을 갹출하기도 했으며 대부분의 향교수입은 향교유지와 제례수행에 쓰여졌다. 이런 향교를 중심으로 양반유생들은 향촌활동을 할 수 있었다. 격문을 발송하여 의병을 일으키거나 향교 이건에 대한 상소문 등으로 그 활동을 전개해 나갔다. 향교는 제례를 수행하고, 학생들을 교육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향촌기구로써 지방 양반유생들의 정치.사회적으로 이용되어 그들을 결집시킬 수는 있는 근거지였다.  

유형
논문
학문분야
역사 > 사회
생산연도
2001
저자명
오송희
소장처
제주대학교 중앙도서관
조회
34
첨부파일
朝鮮後期 濟州鄕校 運營 實態.pdf

이 자료의 저작권은 원저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사용 시 원저작권자의 승인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