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연구센터에서 수집한 소장자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몽골과 바다

분야별정보 > 역사 > 문화



몽골은 유목민족이지만 바이칼호수나 헙스걸호, 헐런호 등 큰 호수를 통해 바다를 인식하고 있음이 나타난다. 이러한 인식은 16세기 중반 티베트불교와 접촉하면서 티베트불교의 지도자에게 바다와 같이 깊고 큰 라마라는 달라이라마(Dalailama)라는 칭호를 선사한 것에서도 입증되고 있다. 몽골의 바다에 대한 인식은 그들이 세계 제국의 길을 걸으면서 유라시아 초원루트와 바다를 잇는 세계 순환 무역루트를 구축하려는 시도까지 발전했다. 그 상징이 바로 대도(Khan-Balig)이다. 대원올로스(Yeke Yüan Ulus)가 선호했던 유배지의 한 곳이 고려의 서해안 섬들이다. 이곳에는 몽골의 귀족들이 주로 유배되었다. 탐라는 코빌라이칸(Khubilai khagan)과 관계가 깊은 섬이다. 또 명초에 운남(雲南, Winnan)의 양왕(梁王, Liang-wang) 가족들이 이곳으로 유배되었다.
유형
논문
학문분야
역사 > 문화
생산연도
2009
저자명
박원길
소장처
KCI
조회
19
첨부파일
몽골과 바다.pdf

이 자료의 저작권은 원저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사용 시 원저작권자의 승인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