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연구센터에서 수집한 소장자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제주도 신방(神房)의 특성에 관한 연구: 入巫儀禮를 중심으로

분야별정보 > 역사 > 문화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최근에 들어서서 전통문화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무속에 대한 관심 또한 아주 높아졌다. 무속이란 말은 종교적 사제자인 무격을 중심으로 한 신앙을 말한다 그러한 무속이 한때는 정치적으로 타파의 대상이면서 서민들 사이에서 조차도 가장 천시 받았던 대상이었다. 하지만 현재의 생활에서도 무속이 민간 신앙의 하나임에는 부인할 여지가 없다. 제주도는 '섬'이라는 자연적 환경조건에 의하여 다른 지역에 비해 무속신앙이 성행했던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여기에 무격의 역할은 신과 민간인들과의 사이에서 중립적인 전달자로서의 위치에 서서 중요한 기능을 하고 있다. 이에 무속연구의 여러 분야에 앞서서 무속의 종교적 사제자인 무격을 연구하는 것이 선행되어져야 한다고 생각하며, 따라서 본 논문은 제주 심방의 특성에 관한 연구를 통해 민간 신앙 깊은 곳에 뿌리를 내리고 있는 무속의 진행자인 심방의변화된 모습을 살펴보며 심방의 입무의례인 신굿의 보존방향과 더불어 그들의 제주 무속 발전을 위한 바람직한 역할을 제시해 보고자 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무격이란 그 의미가 여러가지로 해석되고 있으나 본 논문에서는 실질적으로 굿을 하는 만신, 박수, 심방, 무녀에 한해 제한하고 특히 그 중 제주의 심방에 대해 연구하였으며, 그 연구의 방법으로는 기존의 문헌을 조사 정리하며 현재 제주의 심방들과의 직접적인 인터뷰를 통한 것이다. 그러나, 인터뷰의 대상이 제주 심방의 전체가 아니라는 점이 한계점으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Ⅰ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방법 및 한계점을 제시하였고, Ⅱ장에서는 무격의 이론적 배경으로서 그 기원과 정의 그리고 한국 무의 유형을 살펴보았으며, Ⅲ장에서는 본 연구의 중심이 되는 제주 심방에 대하여 살펴보았는데, 첫째로는 제주 심방의 호칭에 관한 이론적 배경을, 둘째는 제주 심방의 입무과정을 입무의 동기별로 알아보고 무의 학습과정과 신굿의 제차와 현황을 함께 살펴보았으며, 세째는 심방을 경제적 측면과 사회위치적 측면에서 과거와 비교함으로써 생활상의 변화를 알아보고, 네째는 심방의 별칭에 대해 알아 보았다. 마지막으로 Ⅳ장에서는 본문의 내용을 간단히 요약하면서 그 연구 결과 나타나는 제주 심방의 특성과 신굿의 중요성, 그리고 전문적인 자격을 갖출 심방으로서의 그 역할을 제시해 보았다. 

유형
논문
학문분야
역사 > 문화
생산연도
1995
저자명
강지희
소장처
이화여자대학교 도서관
조회
36
첨부파일
제주도 신방(神房)의 특성에 관한 연구 -入巫儀禮를 중심으로.pdf

이 자료의 저작권은 원저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사용 시 원저작권자의 승인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