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연구센터에서 수집한 소장자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제주 문자도 연구

분야별정보 > 역사 > 문화



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문자(文字)는 언어를 기록하기 위한 상징체계라고 볼 수 있다. 음성언어를 기록하기 위해 생겨난 문자는 의사전달의 수단으로써 오랜 세월 동안 다양한 환경 변화 속에서 지속적인 진화를 거듭하였다. 그 중에서도 우주만물의 형상을 본떠 만든 문자인 한자는 그 속에 무한한 에너지가 내재되어 있다고 믿어졌으며, 고대로 부터 문자에 있는 힘을 빌려 인간의 수(壽) 복(福)을 기원하고 액을 물리치는데 사용되어져 왔다. 문자도는 이와 같은 믿음이 적극적으로 반영된 그 시대의 삶의 기록이다. 본 논문은 조선시대 널리 향유되었던 문자도의 기원과 사회적 배경 그리고 그것이 제주지방에 어떤 식으로 뿌리를 내렸고 그 변화는 어떠했는지에 대한 연구이다. 일찍이 문자도가 급속도로 성행한 18세기 청대의 시기와 맞물려, 조선에서도 궁중이나 사대부 가정에서 큰 글자의 효제문자도 장식병풍을 사용했다는 기록이 유득공(柳得恭)의『경도잡지(京都雜誌)』를 통해 전해진다. 18세기에 문자도 병풍은 당시 지배층인 궁중이나 사대부가에서 유교적인 이념을 전파하기 위한 목적으로 장려되어, 병풍이라는 형태의 장식적 쓰임을 통해 유행처럼 잔잔히 퍼졌으며 신분제도가 변화되기 시작하는 19세기 조선 후기부터 널리 서민계층으로까지 크게 성행하게 되었다. Ⅱ장에서는 이와 같은 시대적 변화 속에서 어떻게 문자도가 전해지고 널리 향유되었는지 그 기원과 조선 후기의 사회적 배경에 대해서 살펴볼 것이다. 또 문자도가 가지는 표현 내용과 효제문자도의 양식변천을 심층적으로 연구하여 효제문자도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돕고자 한다. Ⅲ장에서는 제주도에서 효제문자도가 유행하게 된 배경을 살펴보고, 유교의 유입이 제주도 문자도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 살펴볼 것이다. 제주도의 풍부하고 다양한 동식물은 제주도 문자도에 다양한 형태로 등장하는데 이것은 제주 문자도 안에 육지와는 다른 특이한 도상이 등장하게 했다. 또한 뿌리 깊이 박혀 있는 제주도의 토속신앙은 유교의 유입과 그 영향을 받아 제작된 문자도에도 독특한 구조와 상징성으로 제주의 지방색을 지니게 했다. 이러한 특수성은 문자도 전반의 발생과 형성과정을 연구하는데 좋은 모델이 될 것이라 생각된다. IV장에서는 제주문자도의 시대적 변천을 가회박물관 소장 제주문자도 병풍을 통한 편년을 기초로 하여 조선 후기의 문자도 중에서도 제주도 문자도의 특징을 지닌 작품들을 연구대상으로 삼아 그 시기를 각각 1기, 2기, 3기로 나누어 보고 흐름에 따라 형식, 양식, 도상 및 제작기법의 변천을 연구해보고자 한다. 덧붙여 미약하나마 이와 같은 기준에 의해 현존하는 제주문자도를 집계하여 통계를 산출하였다. 물론, 제한된 자료를 통한 연구이므로 정확한 결론이라고 단정 지을 수는 없으나, 제작 시기별 자료가 부족한 민화의 문자도에 대한 편년 추정을 시도해 보았다는 데 그 의의를 두고자 한다.

유형
논문
학문분야
역사 > 문화
생산연도
2013
저자명
최봉금
소장처
동국대학교 경주도서관
조회
38
첨부파일
제주 문자도 연구.pdf

이 자료의 저작권은 원저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사용 시 원저작권자의 승인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