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연구센터에서 수집한 소장자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4·3 의례와 음악 - 제주4·3사건희생자범도민위령제를 중심으로-

분야별정보 > 역사 > 4.3



의례가 갖추어야 할 실행의 측면, 사회 구성원들을 통합하는 기제, 특정한 문맥과 시간의 형식성과 공연성은 음악의 기능과 특징으로 잘 표현될 수 있다. 1994년 43사건 진상규명을 위한 특별위원회 구성을 목표한 정치 상황에서 43의례는 1997년까지 전 도민 화합을 위한 <제주도 노래>를 파제에 연주하였다. 정권이 바뀐 1998, 99년의 의례는 합창음악으로 구체적인 의례의 목적을 반영하였고, 제2부의 영맞이 굿은 한국 현대 정치사에서 전통 무속이 갖는 정치적 대항을 상징한다. 2000년 43특별법이 공포된 이후 의례는 43평화공원부지에서 봉행됐지만, 특색 없는 구성은 오히려 정형화된 기념행사로 화석화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정치적 변화는 위령제의 성격과 음악의 변천을 가져왔고 의례음악은 각 시대의 반영과 상징을 나타내는 매개체 역할을 하였다.
유형
논문
학문분야
역사 > 4.3
생산연도
2005
저자명
이은나
소장처
KCI
조회
17
첨부파일
4·3 의례와 음악 - 제주4?3사건희생자범도민위령제를 중심으로-.pdf

이 자료의 저작권은 원저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사용 시 원저작권자의 승인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