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연구센터에서 수집한 소장자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4.3평화교육이 제주지역 개발에 미치는 효과 연구

분야별정보 > 역사 > 4.3



제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세기는 학살과 폭력의 세기이다(아렌트, 1999; 허상수, 2006 : 75-97 재인용). ‘제주4.3사건’도 근대국가 탄생과정에서 발생된 국가폭력으로(허상수, 2006 : 75-97 ; 제주4.3사건진상규명및희생자명예회복위원회, 2003 : 543-544) 제주지역에서 발생한 사건이었으나 이를 방치하고 묶어 둠은 억울하고 불행한 사건으로 기억 속에 묻히게 되고 또는 사람들이 과거 자료에 접하더라도 이념적 상황에 메이는 현상이 반복되어 좌, 우 대립적 사고로부터 벗어나기에 어렵다. 아직까지 ‘제주4.3사건’을 놓고 이념의 틀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단지 공산주의의 반란을 제압하였다는 시각 하에 ‘제주4.3사건’으로부터 61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대립과 갈등을 완전히 해소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이념 대립적 시각을 탈피하고자 ‘제주4.3사건’의 실체를 확인하고, 평화와 상생을 모색하기 위한 교육으로 지금까지는 일부 초·중·고등학교 학생, 교사, 대학생, 일반시민들을 대상으로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이는 매년 4.3주간 등 한 때의 계기적 교육이거나 일부의 대학생, 일반인들의 선택에 의한 부분적 교육이어서 아직까지는 공교육으로서 정상적인 교육은 제대로 이행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제주도지역의 행정을 담당하는 공무원들조차도 제주4.3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 스스로 바르게 알지 못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적지 않은 실정이다. 이는 과거 이념 편향적 사고의 틀로서 바라봄에 따라 나타나는 ‘제주4.3사건’에 대한 잘못 주입된 좌익적 색채 때문에 ‘제주4.3사건’을 기피하려는 태도에서 기인한다. 이에 더 근원적인 이유는 제주4.3사건진상규명과희생자명예회복에관한특별법(1999년 12월 16일 제정되고 2000년 1월 12일 공포된 법으로, 향후 논문에서 ‘제주4.3특별법’이라 함)이 제정되기 전, 공산폭동 또는 친북적인 민중폭동을 응당하게 진압한 ‘제주4.3사건’으로 기억시켜왔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제주4.3사건’에 대하여 명예회복 요구나 대량학살 등을 운운하는 것은 금기의 영역이었다. 이는 ‘제주4.3사건’을 자랑스럽지 못한 사건으로서 치부하여 그 사건을 잊어버리는 것이 국가이익이라는 정치적 작용의 결과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제주4.3사건’은 지금 여기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이 과거를 반추하며 향후 보다 나은 제주사회를 만들어 가는데 필요한 귀중한 역사적 자원임을 부인 할 수 없을 것이다. 왜냐하면 ‘제주4.3사건’은 한국현대사에 6.25 다음으로 많은 사람이 학살을 당한 비중 있는 사건이기 때문이다. 앞으로 ‘제주4.3사건’과 같은 폭력을 되풀이 하지 않으려면, 그 사건을 거울로 삼아 궁금한 점들을 면면히 뜯어봐야 할 것이다.

유형
논문
학문분야
역사 > 4.3
생산연도
2010
저자명
한윤섭
소장처
제주대학교 중앙도서관
조회
30
첨부파일
4.3평화교육이 제주지역개발에 미치는 효과 연구.pdf

이 자료의 저작권은 원저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사용 시 원저작권자의 승인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