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연구센터에서 수집한 소장자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제주4·3사건 당시 대중운동과 무장투쟁

분야별정보 > 역사 > 4.3



본고는 기존연구에서 잘 활용되지 않았던 「제주도인민유격대 투쟁보고서」와 판결문 등 대중운동 및 무장투쟁의 주체와 관련된 사료를 중심으로 4·3 당시 대중운동과 무장투쟁의 실상을 연대기적으로 정리한 글이다. 이 연구를 통해 기존 연구결과에서 소홀하게 다루어졌던 대중운동과 무장투쟁 주체세력을 중심으로 한 제주4·3사건의 전개 양상을 객관적으로 서술하였고 많은 새로운 사실을 발굴할 수 있었다.

1947년 ‘3·1사건’ 이후 전개된 각 지역별 대중운동, 1948년 ‘2·7투쟁’의 새로운 실상을 정리하여 4·3무장봉기의 발발 배경을 이해하였다. 무장봉기 결정 과정에서 경비대 9연대원 동원과 제주읍내 공격으로써 제주도 일원을 장악하려는 목표가 좌절된 사실 등도 새롭게 밝혔다. 무장봉기 발발과 무력충돌, 평화협상 추진, 5·10선거 거부투쟁, 북한정권 수립 ‘지하선거’에 대한 내용도 재구성했다.

이 글은 4·3 당시 대중운동과 무장투쟁의 표면적인 실상을 드러낸 글로서 앞으로 새로 발굴한 자료와 기존 인용된 자료들과의 대조 분석을 통한 투쟁의 지도부 및 참여자의 구성 및 활동, 당시 사회상에 대한 면밀한 해석적 연구를 기대해본다.

유형
논문
학문분야
역사 > 4.3
생산연도
2018
저자명
박찬식
소장처
KCI
조회
69
첨부파일
제주4·3사건 당시 대중운동과 무장투쟁.pdf

이 자료의 저작권은 원저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사용 시 원저작권자의 승인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