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연구센터에서 수집한 소장자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제주학연구 33│제주도 지역의 아나키스트 운동

분야별정보 > 역사 > 인물



  본 연구는 제주도 지역에서 전개된 아나키스트운동의 실체를 확인함으로써, 제주도 민족해방운동사 나아가 한국 민족해방운동사의 올바른 상을 정립하고, 민족해방운동사의 내용을 풍부하게 하는 데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아나키스트들의 활동을 고찰함으로써 한국 근현대사상계의 다양성을 드러내는 동시에, 좌우 대립을 지양하고 민족을 통합할 수 있는 새로운 사상체계를 모색하는 데 하나의 실마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제주도 지역의 아나키스트운동은 국내 아나키스트운동과 그 흐름을 같이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공산주의운동과의 관계뿐 아니라 국내 아나키스트운동과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제주도 지역의 아나키스트운동이 어떠한 흐름 속에서 전개되었으며, 한국인의 아나키스트운동에서 어떠한 위상을 차지하고 있는지를 규명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다음의 몇 가지 사항을 살펴보고자 한다.

 첫째, 아나키즘이 제주도에 어떻게 유입되었는지, 그 과정을 추적해볼 것이다. 제주도 출신 고순흠(1893. 1. 14)은 국내 아나키즘 수용에서 선구적 역할을 한 인물이다. 그를 중심으로 아나키즘이 제주도로 유입되는 과정을 추적한다.

둘째, 국내 아나키스트운동의 흐름과 비교하면서 제주도 아나키스트들의 사상과 이론을 분석하고자 한다. 

셋째, 제주도에서 아나키스트단체가 결성되는 과정과 그 활동을 정리하고자 한다. 제주도에서는 1920년대 후반 우리계가 결성되어 자주운항운동을 주도하였다. 우리계의 결성과정과 자주운항운동의 전개과정을 살펴보고, 자주운항운동 외에 어떠한 활동들이 전개되었는지 살펴볼 것이다.

넷째, 제주도 아나키스트운동의 특징을 분석하고자 한다. 본인은 한국의 아나키즘-사상편(2001), 󰡔한국의 아나키즘-운동편󰡕(2015)을 통해 한국 아나키즘의 사상과 운동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제주도 지역의 아나키스트운동이 국내에서 전개된 아나키스트운동과 비교해서 어떠한 특징을 가지는지를 분석할 것이다. 

다섯째, 일본 오사카에서 전개된 한국인 아나키스트운동과의 관계에 대해서도 살펴보고자 한다.. 

유형
보고서
학문분야
역사 > 인물
생산연도
2016
저자명
이호룡
소장처
제주학연구센터
조회
34
첨부파일
제주학연구33_제주도 지역의 아나키스트 운동.pdf

제주학 아카이브에서 창작 및 제공하는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