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연구센터에서 수집한 소장자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宋代 東亞 海域上 漂流民의 發生과 送還

분야별정보 > 역사 > 기타



표류민들이 표착되고 송환되는 지역으로는 중국의 명주, 한반도의 탐라, 일본의 대마도가 대표적이었다. 송인의 고려나 일본의 표류는 현저히 적었으나 고려인과 일본인의 중국 표류, 일본인의 고려(탐라) 표류, 고려인의 일본 표류는 상대적으로 많이 보인다. 본고에서는 세 지역(명주· 탐라·대마도)에서 발생한 표류민과 이들의 조처와 송환에 주목해 보았다. 중국에서 고려의 표류민을 송환해 오는 시기는 대체로 5월에서 8월에 이르는 시기로 계절풍을 이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송나라는 당시 동아시아의 불안정한 국제 정세에서 고려와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고자 하는 염원이 강하여 특히 고려의 표류민을 대우하고 송환하는데 성의를 보였다. 물론 송나라는 당시 국제정세에 민감할 수밖에 없었으므로 간첩으로 위장한 가짜 표류민이 있을까 신경을 썼지만 표류된 것으로 밝혀지면 잘 대우하여 송상이 무역하러 가는 때에 귀국하게 하거나 표류민 본국의 사절단이나 상선이 올 때 돌려보냈다. 고려민의 표류에서 두드러진 양상은 탐라지역 출신이 많다는 것이다. 물론 고려내의 이동에서 뜻하지 않게 중국으로 표류되기도 했겠지만, 바다 한 가운데 있는 탐라 지역 사람들은 밖으로 진출할 필요성이 다른 지역에 비해서 많았기 때문에 오히려 중국에서 직접 선진 문물을 흡수하는데 유리한 면도 있었다. 일본의 경우는 중국과 민간교류가 이루어진 후, 어떻게 보면 탐라지역은 지리적으로 중간 거점지역이 되었다. 일본에 표착한 고려의 표류민은 대마도의 관료를 통해 송환해 오는 성의를 보였다. 이는 대마도의 경제가 고려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고 대마도와 한반도는 거리상으로 가까웠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반면, 탐라 지역에서는 일본의 표류민에 대한 약탈이나 만행이 있어 관료가 유배당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중세 동아 해역에서의 교류는 공식적인 표류민 송환제도가 형성되기 이전에도 나름대로 평화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었음이 확인되었다. 표류민들과 현지 관료나 주민간의 교류는 같은 한자문화권에 속하였으므로 한자의 인식 능력을 통해 동아시아인이라는 사실이 밝혀지고, 상대 국가가 자국과 어떠한 정치· 외교관계에 있는지에 따라 대우하는 정도가 달랐다. 또한 송환시에도 당사국과의 관계 여하에 따라 송환 절차가 결정되었다.

유형
논문
학문분야
역사 > 기타
생산연도
2010
저자명
배숙희
소장처
KCI
조회
43
첨부파일
宋代 東亞 海域上 漂流民의 發生과 送還.pdf

이 자료의 저작권은 원저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사용 시 원저작권자의 승인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