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연구성과

제주학연구센터의 연구성과를 알려드립니다.

현용준 선생의 학문세계

  • 허남춘, 김헌선, 강정식, 강소전, 고광민, 오창명
  • 2017-11-01
  • 조회 224
연구보고서
2017 제주학연구비 지정과제) 현용준 선생의 학문세계.pdf
목 차 Ⅰ. 서 론 1. 연구 필요성 2. 연구목적 3. 연구내용 4. 기대 및 활용효과 Ⅱ. 현용준의 조사연구방법과 학문적 위상 1. 연구목적 2. 현용준의 현지조사 방법과 연구방법론 1) 역설적인 안락의자연구형 조사 2) 인공적 조건의 현지조사 3) 라포(rapport) 형성에 의한 집중적 조사 3. 현용준 학문의 위계와 위상 4. 현용준의 조사연구방법과 학문적 위상의 전망 1) 자료의 방법론적 기술에서 벗어나기 2) 학문의 구조 발견에 전념하기 3) 지역유형의 비교방법에 의한 확장하기 4) 텍스트와 컨텍스트의 은유적 해석과 세계관적 점검 Ⅲ. 현용준의 신화 연구 성과와 의의 1. 현용준의 신화 연구를 보는 시각 2. 현용준의 신화 연구 개괄적 검토 1) 현용준의 당신본풀이 연구 2) 현용준의 일반신본풀이 3) 현용준의 건국신화 연구 3. 현용준의 본풀이 연구 방법과 지향 1) 처음과 끝 2) 유형 분류 3) 본풀이의 형성과 전승 4) 본풀이의 형식과 내용 5) 본풀이와 의례 6) 본풀이 연구의 방법, 지향과 그 도달점 4. 현용준의 신화 연구 성과와 의의 5. 선구자의 고충 Ⅳ. 현용준의 제주도 무속 연구 전개와 내용 1. 연구목적 2. 현용준의 제주도 무속 연구 전개 3. 현용준의 제주도 무속 연구 내용 1) 심방 2) 신령(神靈) 3) 무의(巫儀) 4) 무장(巫裝)과 무구(巫具) 5) 기타 4. 현용준 이후 무속연구 과제 Ⅴ. 현용준의 생활민속 연구의 전개 1. 연구목적 2. 생활민속 연구의 胎動 1) 돗거름 2) 바다풀 거름 3) 바령 3. 생활민속 연구의 成長 4. 생활민속 연구의 結實 5. 현용준의 생활민속 연구 전개로 본 제주학의 과제 1) 농경지 공동소유 전승의 배경 2) 바령 전승의 배경 3) ‘쉐찔레’ 전승의 배경 6. 마무리 Ⅵ. 현용준과 제주방언 연구 1. 연구목적 2. 제주방언에 대한 관심과 연구 1) ‘濟州方言의 ‘잠자리(蜻蛉)’ 이름 考’ 2) ‘濟州方言에서의 ‘ㆁ’考’ 3) ‘ㅎ 揷腰音에 對하여: 濟州方言을 中心한 하나의 試考’ 3. 무속 본풀이의 제주방언에 대한 인식과 표기 1) 모음의 표기 2) 자음의 표기 3) 지명 표기 4) 한자어 표기 4. 차자표기 해독 5. 마무리 Ⅶ. 연구결과 및 제언 1. 연구결과 1) 현용준의 조사연구방법과 학문적 위상 2) 현용준의 신화 연구 성과와 의의 3) 현용준의 제주도 무속 연구 전개와 내용 4) 현용준의 생활민속 연구의 전개 5) 현용준과 제주방언 연구 2.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