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센터사업

제주학연구센터는 제주의 과거와 현재와 미래를 지속적으로 기록합니다.

‘제주, 문화콘텐츠의 현재와 미래’를 논한다

  • 2025-09-17
  • 조회 15
첨부파일
보도자료_2025 제주학 학술대회(0916).hwp 2025 제주학 학술대회.jpg
‘제주, 문화콘텐츠의 현재와 미래’를 논한다 
<2025 제주학 학술대회> 개최‥넷플릭스 기조 강연 등 주제 발표‧토론
​​​​​​​

 

제주연구원 제주학연구센터(센터장 김완병)()제주학회(학회장 양정필 제주대 교수)가 공동 주최하고 제주콘텐츠진흥원(원장 강민부)와 오리온재단(이사장 담경선)이 후원하는 <2025 제주학 학술대회>제주, 문화콘텐츠의 현재와 미래를 주제로 926() 오전 10시부터 제주썬호텔 3층 더볼룸에서 개최된다.

 

이번 학술대회는 세계적인 흥행을 기록하고 있는 넷플릭스 드라마 <폭싹 속았수다>와 애니메이션 영화 <케이팝 데몬 헌터스>의 사례를 기반으로 콘텐츠에 담긴 제주어, 4·3, 정체성, 생태 등 제주학의 가치를 규명하기 위해 마련됐다. 아울러 산연 네트워크를 강화하면서 제주학 연구 성과들을 다양한 문화콘텐츠로 제작, 확장하는 방안들을 모색한다.

 

학술대회는 기조 강연과 주제 발표, 종합 패널 토론 등으로 진행된다.

기조 강연자로 예진해 넷플릭스 시니어 매니저를 초청해 ‘Made in Jeju’를 주제로 강연을 듣는다.

 

이어 <발표섹션1>에서는 <폭싹 속았수다>속 제주어, ‘쓰고, 안 쓰고, 못 쓰고에 대하여(권미소 제주학연구센터 전문연구원) 제주해녀문화 연구 성과와 향후 과제(송정희 제주학연구센터 전문연구원)의 발표가 진행된다.

 

<발표섹션2>에서는 43 다큐멘터리 영화의 미학적 전환과 이후의 쟁점들(허민석 서울대 국어국문학과 박사과정) 역사 콘텐츠와 지역방송(김선희 KBS제주 작가)의 발표가 이어진다.

 

<발표섹션3>에서는 제주 축제의 문화정체성 재현과 문화콘텐츠 전략(김은정 제주대 국어국문학과 박사) 웹툰의 제주문화 수용 양상(김진철 탐라문화연구원 연구원)의 발표가 진행된다.

 

<발표섹션4>에서는 제주 사운드스케이프와 콘텐츠 개발(이용원 더사운드벙커 대표) 중국문화유산 콘텐츠 보호와 이용 및 지방문화 전승과 발전(ZHANG BO 북경대 북경학연구소 부주임)의 발표가 열린다.

 

<종합패널토론>은 안미정 한국해양대학교 교수가 좌장을 맡은 가운데 안현미(스토리 AHN대표)와 장민승(미디어 아티스트), 장인수(제주대 국어국문학과 교수), 정민경(제주대 중어중문학과 교수)의 토론이 진행된다.

 

제주학연구센터 김완병 센터장과 ()제주학회 양정필 회장은 제주학의 연구 성과들이 콘텐츠의 영감(靈感)과 기획력, 첨단 기술을 만날 때 제주는 지역을 넘어 세계인을 포용하는 언어와 문화, 인류애로 승화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있다제주학 연구와 아카이브 기반을 안정적으로 구축하고, 연 네트워크를 확대하면서 문화콘텐츠 섬을 실현하는 주춧돌을 쌓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