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연구성과

제주학연구센터의 연구성과를 알려드립니다.

[제주의소리]제주학 초기 학문 공론장 ‘신문’, 앞으로 남은 연구 과제는?

  • 2025-10-31
  • 조회 8
바로가기
https://www.jejusori.net/news/articleView.html?idxno=440711

제주학 초기 학문 공론장 ‘신문’, 앞으로 남은 연구 과제는?

 

SNS 기사보내기

페이스북(으)로 기사보내기 트위터(으)로 기사보내기 카카오스토리(으)로 기사보내기 카카오톡(으)로 기사보내기 네이버밴드(으)로 기사보내기 URL복사(으)로 기사보내기 이메일(으)로 기사보내기 다른 공유 찾기 기사스크랩하기

30일 ‘제주학 연재 기사 연구’ 결과 발표 세미나 개최

해방 이후인 1948년부터 제주도연구회(현 제주학회) 창립 당시인 1979년까지 발간된 제주지역 신문에 수록된 제주학 연재 기사들을 연구한 결과가 발표된다. 

제주연구원 제주학연구센터(센터장 김완병)는 30일 제주연구원 2층 새별오름에서 ‘1948~1979년 제주학 연재 기사 연구’ 결과 발표 세미나를 개최한다. 

연구 책임을 맡은 제주학연구센터 오유정 전문연구위원과 이정원 위촉연구위원은 지난 4월부터 10월까지 약 7개월 동안 제주학-언론학 융‧복합 연구인 ‘1948~1979년 제주지역 신문에 수록된 제주학 연재 기사 조사 연구’를 진행했다. 

옛 제주 지역 신문들을 체계적으로 활용, 계승하고 제주학 융‧복합 연구를 활성화하기 위한 기반으로써 제주학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의 당위성을 강조했다. 더불어 제주학 선구자들의 집필 및 연구 성과들을 새롭게 평가하는 제주학 인물 연구 필요성도 제안했다.

이번 세미나 주제 발표는 △‘1948~1979년 제주학 연재 기사 연구 결과’ 요약 및 정책 제안, 이정원 위촉연구위원 △보는 아카이브, 찾는 역사 대한민국 신문 아카이브, 이현주 국립중앙도서관 디지털정보기획과 과장이 맡는다.

종합 토론은 제주도의회 문화관광체육위원회 양영수 의원을 좌장으로 △최낙진 제주대학교 교수 △강문규 한라산생태문화연구소 이사 △이정효 제주대학교 도서관 학술정보운영실장 △임희숙 제주도서관 기획운영실장 △김승종 제주일보 논설실장이 나선다.

김완병 센터장은 “연구를 통해 지역 신문이 제주학 초기 학문적 공론장으로 기능했음을 확인했다”며 “연구 성과를 이어가기 위해 제주학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및 제주학 선구자 연구 등이 이어져야 하는데 세미나에서 이에 대한 종합적인 지혜를 수렴하겠다”고 밝혔다. 

출처 : 제주의소리(https://www.jejusori.net)

관련 최종 보고서가 이달 말 발간될 예정인 가운데 제주학연구센터는 연구 결과를 공유하고 후속 연구 및 정책 등을 찾아나가기 위해 세미나를 준비했다.

연구진은 제주학 계보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기 위해 1948년부터 1979년까지 제주신보와 제주신문(현 제주일보)에 수록된 제주학 연재 기사들을 수집, 연구했다. 연구진은 제주학 공론장 및 연구 사료로서 지역 신문의 가치를 새롭게 규명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