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레저신문] ‘제주바투리’ 3호 발간
- 2021-07-01
- 조회 32
제주학연구센터(센터장 김순자)는 기관지 ‘제주바투리’ 3호를 발간했다. 이번 호 특집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 어떤 제주 공동체를 만들 것인가?’이며 4월 9일, 제주학연구센터와 제주도의회 포스트코로나대응특별위원회가 함께 개최한 제주학 공동 정책세미나를 지상중계로 실었다. 제주학을 깊게 들여다보는 ‘제주학 톺아보기’에서는 ‘제주 영등굿’(강소전), ‘승정원 일기 제주기사 번역 편찬 사업의 의의’(홍기표), ‘신축교안 120주년, 화해와 상생의 모범 사례’(김선필)를 다뤘다. ‘제주학 연구 기관‧단체 탐방’ 코너에서는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원을 찾는다. 제주학연구센터 사업을 소개하는 ‘제주학 산책’에는 ‘큰굿보다 영험하다는 보목마을 정포제’(조정현), ‘제주어, 궁금해? 궁금하면 물어보세요!’(김미진), ‘제주 유배 문화의 가치 탐색’(김진철), ‘위미2리 해녀들의 신앙 의례’(고은솔)를 담았다. 표지는 홍진숙 작가의 ‘이어도’(2013), ‘열린 창’의 사진은 김기삼 작가의 ‘제주시 도련1동 4‧3위령제(2021년 4월 2일)’, 시는 강덕환 시인의 ‘고유제문’을 실었다. ‘제주바투리’ 3호는 제주학연구센터 홈페이지(http://www.jst.re.kr)에서 다운로드 할 수 있다. ‘바투리’는 ‘바탕, 근원’ 등을 의미하는 제주어. 문의 제주학연구센터 064-726-5623 [제주레저신문이 창간 10주년을 맞았습니다. 다가올 10년을 위한 후원금을 접수합니다. |
제주레저신문 leisuretimes@leisuretimes.co.kr <저작권자 © 제주레저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