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연구센터에서 수집한 소장자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제주 갈옷: 감나무와 감 준비(제주시 삼양이동)

분야별정보 > 기술과학 > 의,식,주



1. 구술 내용 발췌(@ 조사자, # 제보자)​​​​​​​​​​​​​​
@1 그 이 동네는 감낭이 하나수과?
#1 감낭 여러 개. 이제도 잇긴 잇어.
@1 집집마다 잇어나수광? 아니면?
#1 아니, 아니. 이 울타리 널른 집은 감남을 싱그고.
@1 으. 
#1 울타리 엇인 집은 엇엇지. 
#2 감낭, 이런 과일나무는 이 도련 우에 중산 부락에. 
#1 이제 우리 집이 감낭 잇저게.
#2 그땐 헷주만은. 
@2 지금은. 
#2 사치로 조금씩 헌 감낭들 싱그는 딘 싯주게.
@2 그러면 감물들이젠 허믄 감을 사옵니까? 꿩 와?
#1 엇인 사름은 사당.
#2 지금도 그 사당 들일 수 잇어. 이불집 같은 디 감들 저 허니까 그 기계 잇어근에 그걸 기계로 짜잖아. 옛날에 도구리에서 ᄈᆞᆺ이멍 돌혹에서.
#1 응, 돌혹에서.
#2 헷주마는. 
#1 도고리에서 ᄈᆞᆺ앙.
@1 그 삼춘네는 그러면 집에 감낭이 잇어 부난 그거 따근에 감물들연마씨?
#1 아니 엿날은 엇곡 지금은 잇어.
@1 옛날 삼춘 어렷을 때는 거믄 뭘로 감물들여수과? 어디서 상 완?
#2 사완.
#1 사당.
@1 어디서 상 와수과?
#1 웃드리 간.
@1 웃드레 강? 
#1 으. 
@1 그때 당시엔 웃드리렌 허믄 어느 마을?
#2 중산 부락.
#1 중산 부락.
@1 거기 가근에 직접 상 완?
@2 도련? 
#1 응, 도련, 멘촌.
@2 멘촌 저기 그.
#1 봉개 ᄀᆞ뜬 디.
@2 봉개.
#2 도련이. 
#1 으, 무드네.
#2 과일나무는 도련이 많고. 
@2 그런 디 얘기하는 거구나예.
#2 멘촌도 그다지 과일나무 없엇어. 동수동 ᄀᆞ뜬 디 가믄.
@2 동수동?
#1 으, 동수동이 만허여.
#2 예. 동시동.
@2 아, 동수동이 많앗구나.
#2 으. 
@2 그믄 여기서 걸엉 이제 감, 감 빌리러 이제 감 사러 걸엉 가사 뒐 거?
#1 아이, ᄑᆞᆯ러도 와.
@2 으? 아, ᄑᆞᆯ레도 와. 
#2 장에도.
@2 장에도 팔고.
#2 장에도 ᄑᆞᆯ레 와.
@2 그 마을에도 가고 강 사기도 하고 장에서도 사기도 하고 또 저기 뭐헌 사름들은 ᄑᆞᆯ레 여기까지 내려오기도 하고.
#2 주문허믄 갖다 주기도 허곡.
@2 아, 주문허믄 갖다 주기도.
#2 전환 엇어주마는 궨당 집드레 우리 감 몃 뒈, 뒈로 그땐 ᄑᆞᆯ앗어. 
#1 뒛박으로.
#2 응.
@2 뒛박으로예?

 

2. 자료 출처: 제주 갈옷 구술채록 자료집

유형
음성
학문분야
기술과학 > 의,식,주
생산연도
2023
저자명
제주학연구센터
소장처
제주학연구센터
조회
9

제주학 아카이브에서 창작 및 제공하는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