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56 |
고문헌 |
인조 19년 8월 4일 정미 / 箭串에 있는 濟州 馬 100匹을 備邊司로 보내 西邊 運餉의 實卜馬로 相換하도록 하겠다는 司僕寺의 계
|
승정원일기 |
국사편찬위원회 |
인조 19년 (1641) |
180 |
3055 |
고문헌 |
인조 26년 7월 20일 계미 / 都致串 등에 내년 草盛할 때까지 濟州 國屯馬를 捉出하여 移送 放牧하도록 本道에 분부하기를 청하는 司僕寺의 계
|
승정원일기 |
국사편찬위원회 |
인조 26년 (1648) |
183 |
3054 |
고문헌 |
인조 26년 9월 10일 신미 / 濟州에서 先運한 年例歲貢馬에 대해 禾毛色을 別單으로 써서 들인다는 司僕寺의 계
|
승정원일기 |
국사편찬위원회 |
인조 26년 (1648) |
178 |
3053 |
고문헌 |
효종 2년 8월 10일 을묘 / 大殿에 들일 전복을 欠縮한 濟州道의 封進官吏를 從重推考하기를 청하는 司饔院의 계
|
승정원일기 |
국사편찬위원회 |
효종 2년 (1652) |
178 |
3052 |
고문헌 |
효종 7년 7월 26일 임신 / 濟州에서 進上한 烏賊魚 등이 부패하였으므로 陪持人의 囚禁治罪를 청하는 司饔院의 계
|
승정원일기 |
국사편찬위원회 |
효종 7년 (1657) |
158 |
3051 |
고문헌 |
현종 10년 1월 23일 정사 / 許積 등이 入侍하여 戶籍事目을 마련할 인원의 差出, 焰焇의 煮取, 具鎰의 개정에 대하여 논의함
|
승정원일기 |
국사편찬위원회 |
현종 10년 (1669) |
173 |
3050 |
고문헌 |
현종 10년 10월 0일 / 柳赫然 등이 入侍하여 安民倉領運所 營役事가 완료된 후 遷轉에 관한 일, 唐津에서 致敗된 都監船을 忠淸水使 편에서 개조하여 上送하는 일 등을 논의함
|
승정원일기 |
국사편찬위원회 |
현종 10년 (1669) |
156 |
3049 |
고문헌 |
현종 12년 8월 23일 신축 / 引見에 鄭華齊 등이 입시하여 榻前에서 상주할 때 고개를 숙이지 않은 柳赫然의 推考와 濟州 宣諭御史가 가지고 갈 賑恤 물품에 대해 논의함
|
승정원일기 |
국사편찬위원회 |
현종 12년 (1671) |
169 |
3048 |
고문헌 |
숙종 1년 6월 23일 경진 / 패륜적인 행위를 한 申必相의 체포와 사채 문제로 尹善道의 가동에게 형장을 가한 安緝의 삭거사판을 청하는 司憲府의 계
|
승정원일기 |
국사편찬위원회 |
숙종 1년 (1675) |
177 |
3047 |
고문헌 |
숙종 2년 12월 8일 병진 / 大靜縣監에 제수된 許榟에게 병이 있는 老父가 있으니 개차하기를 청하는 吏曹의 계
|
승정원일기 |
국사편찬위원회 |
숙종 2년 (1676) |
175 |
3046 |
고문헌 |
숙종 23년 4월 13일 임술 / 引見에 柳尙運 등이 입시하여 서리의 災異, 盜賊 討捕, 東萊 公作米, 科場事目의 개정, 文殊山城의 군사와 군량 조달 등에 대해 논의함
|
승정원일기 |
국사편찬위원회 |
숙종 23년 (1697) |
163 |
3045 |
고문헌 |
숙종 34년 2월 26일 계묘 / 濟州 靑橘의 수효가 부족하므로 宗廟 등에 각각 11개씩 薦進하겠다는 禮曹의 계
|
승정원일기 |
국사편찬위원회 |
숙종 34년 (1708) |
16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