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열린마당

제주학연구센터에서 진행하는 행사, 강연 소식과 공지사항을 알려드립니다.

[제주매일] 탐라순력도’ 제주의 온전한 국보로 만들어야

  • 2025-10-22
  • 조회 3
원문기사
https://www.jejumaeil.net/news/articleView.html?idxno=351385

1998년 매입에도 ‘이형상 수고본’ 목록 중 하나로 표기
어제 도의회 문광위 행감서 ‘발빠른 관광 정책’ 등 주문

2025. 10. 21. 제주매일(조문호 기자)

 

제주도의회 문화관광체육위원회 양영수 의원, 고태민 위원장, 박두화, 김대진, 강철남 의원(왼쪽부터). [사진=제주도의회]

제주도의회 문화관광체육위원회 양영수 의원, 고태민 위원장, 박두화, 김대진, 강철남 의원(왼쪽부터). [사진=제주도의회]

 

제주도를 대표하는 국가문화유산 ‘탐라순력도(耽羅巡歷圖)’를 제주의 온전한 국보로 만들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관광 트렌드의 급변 속에 제주관광의 부정적인 면이 부각되고 있어 제주도의 발빠른 대처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제주도의회 문화관광체육위원회(위원장 고태민)는 21일 김애숙 제주도 정무부지사가 출석한 가운데 관광교류국과 제주관광공사 등 소관 부서에 대해 행정감사를 실시했다.

 

양영수 의원(진보당, 아라동을)은 이 자리에서 탐라순력도가 “1998년 제주도에서 3억원에 구입을 했음에도 아직까지 제주도 단독의 보물로 변경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양 의원이 국가유산청 홈페이지에서 제주도 보물을 검색한 결과 탐라순력도는 누락돼 있었다. 경상북도 영천시의 보물로 지정된 ‘이형상 수고본’에 들어가야 10개 목록 중 하나에 들어있다.

 

보물 제652호인 ‘이형상 수고본’은 제주목사를 지내며 탐라순력도를 지은 이형상 목사가 남긴 친필 원고본이다. 탐라순력도를 비롯해 10종(15책)으로, 탐라순력도는 보물 제652-6호다.

 

양 의원은 “탐라순력도가 제자리를 찾아나가기 위해서는 경북 영천시 ‘이형상 수고본’ 목록 중 하나로 지정돼 있는 것을 따로 떼어내서 제주도의 보물이나 국보로 지정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고태민 위원장(국민의힘, 애월읍갑)도 “법적으로도 제주도의 보물로 정리했으면 좋겠다”면서 “탐라순력도가 전국적으로도 유일무이한 조선시대 그림으로 중요성을 갖고 있다. 역사성을 정리해 달라”고 의견을 보탰다.

 

박두화 의원(더불어민주당, 비례대표)은 최근 3년간 타 지역 언론에 보도된 제주관광 관련 키워드를 분석해 “제주관광 정책이 언론과 시장이 포착한 변화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박 의원이 분석한 결과 코로나 엔데믹 이후 2023년 준비 부족, 2024년 운영 실패, 2025년 개발·보전 갈등으로 이어지는 흐름에 행정이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 올해엔 외국인 관광, 숙박, 쇼핑, 문화, 인프라 등 키워드가 확대되면서 인바운드 중심으로 전환이 분명해지고 있음을 확인했다.

 

특히, 중국인 관광객의 무비자 체류 기간 확대, 대만 직항 증가로 중화권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다. 박 의원은 이와 관련 “제주관광의 골든타임이지만 제주는 아직도 단체 인센티브 중심 정책에 머물러 있다. 타 지자체는 직항 노선을 늘리고 SNS 마케팅에 총력전을 펼치는 반면 제주만 과거 전략을 반복하고 있다”고 우려를 표했다.

 

박 의원은 “개별 여행객이 숨은 맛집과 경험을 찾아 제주를 방문할 수 있도록 맞춤형 마케팅과 콘텐츠 전략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의견을 피력했다.

 

김대진 의원(더불어민주당, 동홍동)은 제주관광 이미지 보호를 위해 강력한 처벌 제도 도입을 촉구했다.

 

김 의원은 최근 탐라문화제에서 불거진 ‘불량 김밥’을 예로 들며 “제주도는 관광 이미지 개선을 위해 매년 수십억원의 예산을 투입하고 있지만 개인 1명의 욕심이 그 모든 노력을 물거품으로 만들 수 있다는 것을 우리는 이미 여러 차례 경험했다”고 꼬집었다.

 

김 의원은 최근 이어지고 있는 ‘바가지 요금’ 오명을 타파하기 위해 관광불편신고센터, 착한가격업소, 가격표시제 등 수많은 대책 시행에도 매년 성수기마다 같은 문제가 반복돼 “이제는 땜질식 대응을 넘어서는 근본적인 해결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원 스타라이크 아웃’ 제도를 도입해 일벌백계할 것을 제안했다.

 

강철남 의원(더불어민주당, 연동을)은 지난 3월 정부가 발표한 ‘문화한국 2035’ 비전으로 문화산업 시장 규모를 300조원대로 성장시키는 목표와 관련 “일정 부분 제주도의 미래(를 보장하는) 역할도 가능하고, 관광산업하고 일자리까지도 연결되는 중요한 사업”이라며 “정부에서 준비하는 ‘문화도시 3.0과도 연결시킬 수 있다. 준비를 잘해서 성과를 이룰 수 있도록 하라”고 요청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