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연구센터에서 수집한 소장자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테마파크의 운영효율성 분석 및 평가에 관한 연구: 제주지역을 중심으로

분야별정보 > 사회과학 > 사회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본 연구는 제주지역 테마파크의 운영실태 자료를 통해 DEA모형(CRS)을 사용하여 수익과 존립에 직접적인 요인인 운영효율성을 측정하여 테마파크 설립을 구상중이거나 기존 테마파크의 경영자에게 최적의 조직설계로 경제적 효과를 낼 수 있는 롤 모델을 제시함에 있다. 2000년대 제주관광은 제주국제자유도시 조성, 제주특별자치도 출범,「제주특별자치도 설치 및 국제자유도시 조성에 관한 특별법」제정, 특히 세계 유일의 유네스코 3관왕(세계자연유산 등재, 생물권 보전지역 등록, 세계지질공원 인증)과 함께 세계 7대 자연경관의 선정으로 제주 관광에 신기원을 이룩하는 전환점을 맞이했으며 2012년 세계자연보전총회 유치 등 급격한 정치, 경제, 사회, 문화의 변화로 새로운 전환기를 맞이하고 있다. 점진적으로 단체관광객 수가 감소하는 반면 개별관광객의 증가가 두드러지고 있으며 휴양 및 관람, 회의 및 업무, 레저스포츠 활동 등 다양한 목적의 관광객이 늘어나고 있다. 이로 인해 모든 사람에게 즐거운 시간과 공간을 제공해 새로운 여가시설로 부각되고 있는 테마파크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본적인 규모 불변하의 DEA모형(CRS)을 사용하여 제주지역에 위치한 테마파크들의 운영효율성을 측정하는데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행한 DEA 기법의 실증분석 결과를 다음과 같이 몇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이 결과는 제주지역 테마파크의 운영효율성 개선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연구 결과에 대한 시사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사용한 DEA분석은 제주지역 테마파크의 운영효율성을 대상으로 상대적인 효율성을 측정하는데 적용되었다. DEA분석에 의해 측정된 효율성지표는 각 테마파크의 운영업무간의 상대적 효율성을 나타내는 지표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을 뿐만 아니라, 이 지표를 이용하여 비효율적인 테마파크의 업무의 효율성 개선을 위한 방안을 수립할 수 있다는 점과 가용한 자원을 가장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해 준다는 데 큰 의미가 있다. 본 연구에서 비효율적인 테마파크의 업무의 효율화 경영전략 및 비용절감을 위한 귀중한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다. 둘째, DEA 분석을 이용하면 테마파크의 업무 성과를 함수형태에 대한 아무런 사전적인 가정 없이 평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방법상의 장점으로 인해 테마파크의 운영효율성 업무의 생산함수의 추정 없이 해당 테마파크의 업무의 효율성을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DEA모형에 의한 효율성 측정은 임의적인 가정에 의한 모형의 왜곡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유형
논문
학문분야
사회과학 > 사회
생산연도
2012
저자명
최병석
소장처
경희대학교 중앙도서관
조회
19
첨부파일
테마파크의 운영효율성 분석 및 평가에 관한 연구 - 제주지역을 중심으로.pdf

제주학 아카이브에서 창작 및 제공하는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