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연구센터에서 수집한 소장자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제주지역 해양생물 현장학습장의 개발과 활용에 관한 연구

분야별정보 > 사회과학 > 교육



제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과학교육의 중요한 목적은 과학적 사고를 통한 올바른 개념의 형성이라고 할 수 있다. 미국의 화학자이자 교육학자인 Conant(1951)는 과학을 정의함에 있어 풍부한 실험과 관찰로 개발된 개념과 개념체계로서 정적인 산물과 동적인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이라 하였다. 여기서 동적인 과정, 즉 과학적 방법은 문제의 발견에서 시작하여 문제의 중심 과제를 파악하고 문제 해결에 필요한 정보 자료를 수집하고, 정보의 정리, 분류, 정보의 해결에 의한 가설 설정 및 검증, 검증 실험에서 결론을 발견해 나가는 문제 해결의 과정이라 할 수 있으며, 정적인 산물은 그러한 과학적 탐구과정에 의해 얻어진 사실, 법칙, 이론 등 과학적 지식이라 할 수 있다. 과학에서 탐구과정은 중요하며 일반적으로 현장학습은 탐구적 방법을 극대화시키고 교실 수업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한다. 왜냐하면 기본적인 개념들은 직접적인 관찰과 경험을 통해 구체화되고 명확하게 학생들이 인지하게 되는데, 현장학습에서는 교실에서 할 수 없는 물질과 현상을 직접 관찰하고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제주도는 다른 지역에 비해 해양생물의 현장학습을 하기에 좋은 자연환경을 갖고 있다. 사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있고, 쓰시마 난류와 황해 난류 등이 통과하여 겨울철에도 비교적 수온이 높아 각종 동식물 플랑크톤이 풍부하여 많은 종류의 해양생물이 서식하고 있다. Falk과 Balling(1982)은 학생들이 야외 조사 중 인지적인 과제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은 야외 조사 환경에서의 새로운 경험 여부에 의존하며, 야외 조사 지역에 익숙한 학생들의 학습 활동은 그렇지 못한 학생들에 비해 훨씬 효과적으로 나타난다고 밝히고 있다. 이에 제주도에서 학습하는 학생들은 제주도의 지역적 특성상 현장 학습을 실시하는 공간이 생활에 너무나 친숙한 곳이면서 생활 근거지이기 때문에 이런 공간을 활용한 야외학습은 타 지역의 학생들보다 학습 성취도가 높게 나타날 수 있다고 본다. 그러므로 제주지역의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해양생물의 현장 학습장을 개발하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활동이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제7차 초등과학과 교육과정을 검토하여 생명영역의 내용체계 중에서 해양생물의 현장학습에 알맞은 내용을 선정한 후 그에 따른 교수-학습 보조물로서 체험학습 과정안과 준비단계, 야외학습단계, 요약단계의 학습지, 평가 기준안을 개발하였다. 교사들이 쉽게 적용할 수 있도록 체험학습 과정안은 활동목표와 내용, 유의사항, 준비물, 활동 절차, 본시 교수-학습과정안, 참고자료 등을 개발하였으며 준비단계에서는 야외학습 준비를 위한 구체적인 활동내용을 제시하였다.

유형
논문
학문분야
사회과학 > 교육
생산연도
2004
저자명
채인숙
소장처
대구교육대학교 도서관
조회
14
첨부파일
제주지역 해양생물 현장학습장의 개발과 활용에 관한 연구.pdf

이 자료의 저작권은 원저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사용 시 원저작권자의 승인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