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연구센터에서 수집한 소장자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제주돌 건축내장재 사용을 위한 표면마감 및 색채표현 다양성에 관한 연구

분야별정보 > 기술과학 > 건축



○ 웰빙 추구 제주돌의 건축내장재의 물성에 대한 연구 ○ 제주돌이 표현 가능한 표면마감(texture) 기술, 색채표현(color) 기술에 대한 연구 ○ 제주돌에 함유된 친환경적 요소(원적외선 방출)의 연구 ○ 다양한 건축내장재 상품화 2. 개발내용 및 결과 제주 현무암 건축내장재의 기능적 우수성으로, 1. 균일한 내부 조직성(組織性) 2. 많은 기공에 의한 수분 흡습성(吸濕性) 3. 기공에 의한 단열성(斷熱性) 4. 다양한 표면 가공성 (人工的, 機械的) 5. 기계적 가공에 대한 강성(强性) 6. 고른 색채 안착성(安着性) 7. 가열에 의한 원적외선 방출성(放出性)등의 물성이 있음을 실험과정을 통하여 발견하였다. 또한 웰빙을 추구하는 상류층 사회구성원들에게 제시할 수 있는 고급 브렌드 창출의 가능성도 발견하게 된 기회가 되었다. 3. 사업성과 ○ 기술적 성과 중소기업청이 주관하고 제주특별자치도가 후원하여 진행된 본 연구를 통하여 아래와 같은 기술적 성과를 얻게 되었으며, 본 연구와 관련된 유사업종의 사례를 먼저 살펴보면, 지난해 1500억원의 소득을 올린 거창 석재산업의 경우 지역 특화산업의 성공적인 사례가 되고 있다. 거창군은 포천시, 익산시와 더불어 국내 3대 화강석 산지로서 국내 석재산업 시장의 20% 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특별히 거창 화강석은 무늬와 색상이 균일해 업계에서는 국내 최고의 품질로 인정받고 있다. 지역 특화산업의 일환으로 국내 건축 석재시장(화강석)을 타겟으로 결정한 거창군은 채석 능력과 가공기술을 갖추면 해외시장 개척도 가능하다고 보고 '화강석 생산의 전면적 특화'에 나선 것이다. 거창군은 우선 거창 화강석 이미지(image)화에 나섰다. 1등급 원석을 가지고도 브랜드 이미지가 취약해 시장에서 기피하고 있었던 부분 때문이다. 이를 위해 거창군은 업계와 함께 채석 단지 지정에 나서는 한편 3년간 36억원을 투입하면서 인프라 구축에 나섰다. 결국 이사업이 성공을 거두게 되어 지난해 1500억원의 소득, 거창 경제의 40% 점유, 국내 석재시장의 20%를 점유하는 효과를 거두게 되었다. 본 제주돌 관련 연구를 통하여 얻게 된 기술적 성과는, 1. 인공적 제주돌 표면 다듬질 테크닉 2. 기계적 제주돌 표면 다듬질 테크닉 3. 건축내장재로서의 제주돌에 색채(color) 안착과 관련된 다양한 기술 4. 원적외선 방출 건축내장재(Interior Architecutral Material that is emissional the origin infrared rays use in Jeju Basalt.) 생산 등이 되겠다. 아울러, 본 연구를 통하여 제주돌의 건축내장재 표면가공성의 우수성을 발견하게 되었고, 이를 활용하여 아래와 같은 내용의 기타 성과들을 얻게 되었다. 1. 손다듬기 : 혹두기(큰혹두기,작은혹두기), 정다듬(큰정다듬,중정다듬,잔정다듬), 도드락다듬(거친도드락다
유형
보고서
학문분야
기술과학 > 건축
생산연도
2008
저자명
김성진
소장처
제주관광대학 산학협력단
조회
32
첨부파일
제주돌 건축내장재 사용을 위한 표면마감 및 색채표현 다양성에 관한 연구.pdf

제주학 아카이브에서 창작 및 제공하는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