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연구센터에서 수집한 소장자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방언자료를 통한 한자훈 연구

분야별정보 > 언어 > 제주어



濟州島 資料集'(1971) 속의 「漢字의 濟州名」은 방언자료 속에 한자의 음과 훈을 포함시킨 유일한 자료이다. 「漢字의 濟州名」은 석주명(石宙明)이 1943년부터 1945년까지 제주에서 채집한 한자의 음과 훈을 기록한 것이다. 본 연구는 이 자료를 통하여 한자 훈의 다양한 모습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漢字의 濟州名」에서 제시된 제주명과 석주명이 제시한 표준명이 다른 경우의 한자에 대해서 방언 훈, 이본 훈, 개인 훈으로 나누어서 고찰하였다. 비교의 대상으로 삼은 것은 '千字文 資料集-지방 천자문편'(1995)의 훈이다. 방언자료는 지방 사람의 구술을 기록한 것이기 때문에 지방의 다양한 음운이 그대로 드러나고 구두 모방 암기 과정에서 와전된 훈이 화석화된 경우도 있다. 「漢字의 濟州名」은 방언자료인 만큼 제주방언 어휘로 된 훈이 특징이다. 방언 훈 중에는 중세 어휘가 그대로 제주방언으로 남은 경우와 고어형(古語形)이 확인되지 않은 방언 어휘 훈으로 나눌 수 있다. 방언형이 우세한 어휘인 경우는 그대로 한자의 훈으로 사용되었다. 제주명과 석주명의 표준명이 다른 훈은 '千字文'의 어느 이본의 훈을 제시하느냐의 차이이다. 제주명은 '千字文' 내각문고본(1583)에 의한 것이 많고 석주명의 표준명은 18세기 이후의 '千字文', 특히 임술본(1862) 이후의 훈으로 새긴 것이 많다. 오독이나 잘못된 이해가 아니라 개인의 언어관에 따라 유사 개념이나 용법의 예로 재해석하여 훈을 말하는 경우도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런 경우를 개인 훈으로 명명하였다. 󰡔千字文󰡕의 훈은 보수적이고 방언적 요소가 거의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각 지방에서는 제시되는 고정된 훈을 사이에 두고 학습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훈은 다양하다. 지방에서는 훈의 개념을 방언으로 저장하기 때문에 개인이 소유하고 있는 훈은 다양할 수 있다. 제주방언 자료를 통해서 본 한자 훈의 특징은 지역 환경에 따라 재해석된다는 점과 개인 언어에 따라 재해석되었다는 점이다.
유형
논문
학문분야
언어 > 제주어
생산연도
2011
저자명
이권홍
소장처
KCI
조회
39
첨부파일
방언자료를 통한 한자훈 연구.pdf

이 자료의 저작권은 원저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사용 시 원저작권자의 승인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