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연구센터에서 수집한 소장자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탐라 건국신화에 보이는 3神女의 역할과 위상

분야별정보 > 문학 > 구비문학



본 논문은 탐라 건국신화에 보이는 3신녀의 역할과 그 위상을 한국 고대 건국신화와 비교하여 탐라 건국신화의 특수성과 보편성을 살펴본 것이다. 탐라 건국신화의 내용은 지상에서 솟아난 3신인과 바다를 건너온 3신녀가 혼인하여 탐라 사회가 변하였다는 것이다. 한국 고대 건국신화에서는 시조가 사회를 변화시키는 역할을 하였다. 하지만 탐라 건국신화에서는 3신인이 아닌 3신녀가 그 역할을 하였고 3신녀가 탐라에 온 이유는 건국과 관련 있다고 하였다. 탐라 건국신화에서 3신녀가 바다를 건넌다는 것은 가락국의 허황옥, 신라의 탈해와 비교된다. 3신녀는 탈해와 같은 卵生은 아니었지만, 函에 담겨 출자처와는 다른 변화를 겪으면서 바다를 건너왔고 3신녀의 출현으로 수렵사회였던 탐라는 농업과 목축사회로 전환되었다. 한국 고대 건국신화의 유화와 알영은 江・井과 연결되어 있는데, 물의 기본적 속성은 끊임없이 변화하는 것이다. 따라서 바다, 江・井과 밀접한 관련을 가진 여성신은 사회의 변화와도 관계있다고 하였다. 한편 3신인에 대한 추숭은 16세기 이전까지는 무속적인 제사였지만, 이후 유교적 의례로 변하였다. 그리고 3신녀가 五穀 種子를 가지고 왔다는 점에서 3신녀는 穀母神的 성격을 지녔고 한국 고대 건국신화의 유화나 선도산 신모처럼 神母 혹은 聖母로 추앙되었을 것이라고 하였다. 이와 같은 탐라 건국신화의 3신인과 3신녀의 추숭은 한국 고대 건국신화의 시조와 시조비(모)가 국가제사의 대상이었던 것과 비교된다고 하였다.

유형
논문
학문분야
문학 > 구비문학
생산연도
2018
저자명
채미하
소장처
KCI
조회
15
첨부파일
탐라 건국신화에 보이는 3신여의 역할과 위상.pdf

이 자료의 저작권은 원저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사용 시 원저작권자의 승인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