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연구센터에서 수집한 소장자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4ㆍ3을 소재로 한 시들의 유형과 특징

분야별정보 > 문학 > 현대문학



제주도연구 제19집

4·3을 소재로 한 문학 작품들은. ``4·3``이라는 역사적 사실을 외지인들에게 알리고 그것을 새롭게 조망하는 중요한 계기를 제공했다. 현기영의 「순이삼촌」(1978)을 필두로 한 일련의 작품들과 현길언의 「우리들의 조부님」(1982)으로 대표되는 소설들은, 폭동으로 알려져 있던 ``4·3``을 새롭게 인식하는 동기가 되었다. 이들의 작품을 통해 4·3은 제주도민들의 삶을 지배하고 있는 가장 큰 상흔인 동시에 현대사의 중요한 한 사건으로 떠오르게 된다. 이에 비한다면. 4·3을 소재로 한 시들이 쓰여지는 것은 다소 늦은 편이다. 4·3을 소재로 한 시들은 그 이전에도 있었지만, 세간의 주목을 끌게 된 것은 이산하의 「한라산」(1986)부터라고 할 수 있다. 「한라산」에 얽힌 필화 사건은 4·3에 대한 국민적인 관심을 불러일으키는 데 일조를 했던 것이다. 이를 계기로 해서 4·3을 소재로 한 시집들이 본격적으로 출간되는 것은 1990년대에 이르러서이다. 본고는 4·3이라는 역사적 사건이 시에서 어떤 식으로 표출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유형
논문
학문분야
문학 > 현대문학
생산연도
2001
저자명
문혜원
소장처
제주학회
조회
33
첨부파일
0f500496.pdf

이 자료의 저작권은 원저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사용 시 원저작권자의 승인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