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연구센터에서 수집한 소장자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무형유산 기증자료 연구 - 이두현 교수 기증자료 -

분야별정보 > 역사 > 고고



1. 『이두현 기증 무가연구(9~10권)』: 황해도 진오기굿, 만수대탁굿(2권) 가. 황해도 무가의 종합보고서 제작 〇굿에 대한 개설, 무가 사설 채록과 채보, 연구논문, 음원 CD 수록 〇전대주 만신의 무가 사설 채록ㆍ채보, 음원 파일 등 완판을 갖춘 자료는 없었음 나. 황해도 진오기굿, 만수대탁굿의 내용 특성과 의의 〇그 동안 집중되었던 김금화 만신 이외의 새로운 인물 발굴ㆍ조명 〇진오기굿은 개인의 천도굿으로 접근성 어려움, 만수대탁굿은 황해도 큰 무당이 평생에 두세 번 연행하기도 힘든 굿이라는 점에서 황해도굿의 연구 자료 확대에 기여 〇전대주 만신의 독특한 굿 구성이 드러남 - 지금까지 알려진 황해도굿(김금화 만신 중심)과의 차이점 확인(재차 구성) - 진오기굿에서 군웅타살, 서낭거리 연행(김금화 만신은 없음) - 굿거리 중에 다양한 삽입가요 등장(황해도의 다른 무속인보다 잦은 양상) 〇다양한 공수와 전대주 만신의 무가 연행을 살펴보면, 무당으로서의 역량(신격, 음악성 등)이 뛰어났음을 확인할 수 있음 2. 『이두현 기증 무가연구(11~12권)』: 제주도 성주풀이, 수산본향당 신과세제(2권) 가. 제주도 무가의 종합보고서 제작 〇굿에 대한 개설, 무가 사설 채록과 채보, 연구논문, 음원 CD 수록 〇제주도굿 중 무가 사설 채록ㆍ채보, 음원 파일 등 완판을 갖춘 자료는 없었음 나. 제주도 성주풀이, 수산본향당 신과세제의 특성과 의의 제주도 성주풀이 ㅇ제주도 성주풀이의 대표적인 사례 ㅇ1980년 당시 외곽으로 급격히 확장, 변모되던 제주시의 주택 변화모습 투영 ㅇ지금은 사라진 상량의 옛 모습을 확인 ㅇ동시에 진행되는 재차까지 채록되어있어, 굿의 완결성이 높음 ㅇ제주도의 심방 중 가장 널리 알려진, 고 안사인심방(제주칠머리당영등굿 보유자)의 연행 자료 로, 굿의 가치성이 높고 연행자의 전성기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음 ㅇ당시의 사진을 통해 굿에 참여했던 심방과 소미의 현황을 확인할 수 있음 제주도 수산본향당 신과세제 ㅇ제주 동부지역 당굿의 전모 파악 가능 ㅇ성산읍 지역 마을굿의 내력을 소상하게 파악할 수 있음(신앙권역의 성립과 공유) ㅇ수산본향당 신과세제의 변화양상 추적 가능 ㅇ그간 제주시, 조천읍, 구좌읍 일대에 집중되었던 제주도 당굿 연구의 지역적 편중현상 해소 ㅇ당시의 사진을 통해 굿에 참여했던 심방과 소미의 현황을 확인할 수 있음 - 성산읍 지역을 대표하는 큰심방 조인배의 존재 확인 - 제주도 무속의 균형적인 연구가 가능해짐 3. 『이두현 기증 무가연구(13~20권)』: 동해안 수망오구굿, 망자혼례굿(8권) 가. 동해안 무가의 종합보고서 제작 〇굿에 대한 개설, 무가 사설 채록과 채보, 연구논문, 음원 CD 수록 〇동해안굿 중 무가 사설 채록ㆍ채보, 음원 파일 등 완판을 갖춘 자료는 없었음
유형
보고서
학문분야
역사 > 고고
생산연도
2013
저자명
이명진
소장처
국립문화재연구소
조회
42
첨부파일
무형유산 기증자료 연구 - 이두현 교수 기증자료 -.pdf

제주학 아카이브에서 창작 및 제공하는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