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전체

6896개의 내용이 있습니다.

번호 유형 제목 저자명 소장처 생산연도 조회
2984 고문헌 제도(諸道)의 전최(殿最)를 개탁(開坼)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6년 (1782) 141
2983 고문헌 성정각(誠正閣)에서 대신 및 비변사 당상과 윤대관(輪對官)을 소견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0년 (1786) 144
2982 고문헌 성정각(誠正閣)에서 대신(大臣)과 비변사 당상을 소견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2년 (1788) 159
2981 고문헌 성정각(誠正閣)에서 시원임 대신(時原任大臣), 각신(閣臣) 및 윤대관(輪對官)을 소견(召見)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3년 (1789) 173
2980 고문헌 성정각(誠正閣)에서 함양군 사정 어사(咸陽郡査正御史) 최현중(崔顯重)과 하직하는 수령을 소견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4년 (1790) 160
2979 고문헌 양사의 관원을 패초(牌招)하여 새로 제수한 수령을 서경(署經)하게 하라고 명하고, 곧이어 사간원의 서경을 제해 주라고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7년 (1793) 162
2978 고문헌 정의 현감(旌義縣監) 고한록(高漢祿)은 하직 인사와 서경(署經)을 제해 주고, 장릉 영(章陵令) 송계상(宋繼相)은 개차하지 말라고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7년 (1793) 157
2977 고문헌 전라 감사 이서구(李書九)가 제주(濟州) 대정현(大靜縣)에서 이전(移轉)해 오는 양태(凉臺 갓양태)와 감곽(甘藿 미역)을 실은 배 1척이 치패한 데 대해 급히 장계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7년 (1793) 153
2976 고문헌 성정각(誠正閣)에서 대신(大臣), 각신(閣臣), 약원 제조 및 비변사 유사 당상, 제주 어사(濟州御史), 정의 현감(旌義縣監)을 소견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7년 (1793) 137
2975 고문헌 위유안핵순무시재 어사(慰諭按覈巡撫試才御史) 심낙수(沈樂洙)를 특별히 승진시켜 제주 목사(濟州牧使)로 삼았다. 그리고 여러 가지 폐막(弊瘼)은 편의에 따라 바로잡고, 창고를 설치하는 문제는 묘당에서 내게 물어 처리하게 하며, 제주도 유생(儒生)의 입격한 시권(試劵) 중 수석을 차지한 사람이 지은 것을 외각(外閣 교서관)에서 인쇄하여 보내게 하고, 무과(武科)에 응시한 사람 중 급제(及第) 자격을 준 사람과 문과(文科)에서 입격한 사람은 내년 봄에 올려보내 동시에 창방(唱榜)할 수 있도록 하며, 전(前) 목사(牧使) 이철운(李喆運)은 의금부로 잡아오거든 엄히 형추(刑推)하여 공초(供招)를 받은 뒤에 법에 따라 엄히 다스리고, 수령의 학대를 도와 백성을 못살게 군 장교와 아전은 곤장을 쳐서 엄히 다스리며, 양지온(梁之蘊)은 더욱더 엄히 처리하고, 구렁을 전전하다 죽어 간 사람이 가장 많은 곳에 고아와 과부를 모아 놓고 제단(祭壇)을 설치하여 제사를 지내며, 3개 읍(邑)의 기민(饑民)은 마음을 다해 구제하고, 안핵(按覈)에 대한 장본(狀本)은 시원임 대신(時原任大臣)에게 돌려가며 보여 주라고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8년 (1794) 144
2974 고문헌 제주(濟州) 3개 읍의 식생활이 어려운 백성을 유의하여 구제하라고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8년 (1794) 152
2973 고문헌 제주(濟州) 3개 읍의 수령에 대해서는 앞으로 성적을 고과(考課)하여 출척(黜陟)을 특별히 행하고, 본도(本島) 사람 이형수(李亨秀) 등에 대해서는 해당 목사에게 실제 행적을 상세히 물어 수용(收用)하되 삼기(三歧)에 대해 등급을 나누어 논열(論列)하여 장계로 보고하게 하고 장계가 올라오거든 내게 물어 처리하라고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8년 (1794) 1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