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말국

보말국_이호동_2024_좌혜경
방언
ᄀᆞ메기국, ᄀᆞᆷ셍이국
정의
고둥을 넣어 끓인 국.
내용
고둥을 가리켜 제주에서는 ‘보말’이라 한다. ‘보말국’은 손이 많이 가는 음식이다. 바다에서 잡아 온 ‘보말’을 솥에 넣고 물에 잠길 정도로 넉넉하게 물을 부은 다음 한소끔 끓여낸다. ‘보말’이 익으면 체에 걸러 물을 빼고 뾰족한 가시나 침을 이용하여 ‘보말’의 살을 꺼낸다. 몸통 속 내장에는 먹이의 소화과정에서 남은 모래 등이 남아 있으므로 내장을 구분해서 손으로 주무른 후 물을 넣어 내장 속의 모래를 걸러낸다.
‘보말’의 몸통과 내장을 포함한 ‘맨깍’을 참기름에 볶은 후 모래를 걸러낸 물을 부어 미역을 넣고 한 번 더 푹 끓인다. 이때 메밀가루를 섞으면 약간 끈기가 생기므로 ‘보말’과 미역이 잘 붙어서 맛을 더한다. 국이 거의 완성되면 간장이나 소금으로 간한다. ‘보말’의 몸통 살이 질겨지는 것을 막기 위하여 몸통 살을 미리 끓이지 않고 국이 다 끓여진 후에 넣은 다음 참기름 한 큰술을 넣고 간을 한다.
‘보말’이 영양가도 풍부하고 맛이 있다는 평가를 받으면서 요즘은 죽, 칼국수 등의 재료로도 활용된다.
참고 문헌
강영봉 외 5명, 《맛좋은 제주어》, 제주특별자치도 제주학연구센터, 2021.
제주학연구센터, 《제주해녀 음식문화》, 제주콤, 2017.
제주학연구센터, 《제주해녀 이해》, 하나CNC, 2018.
필자
좌혜경(左惠景)